에디터 개요¶
VoiceScriptPlayer의 에디터(Editor) 는 프로젝트를 구성하고 리소스를 편집하는 핵심 도구입니다.
이 페이지에서는 에디터의 전체 인터페이스 구성과 각 탭의 역할을 소개합니다.
1. 에디터 시작하기¶
프로젝트를 생성하거나 불러오면 자동으로 에디터가 열립니다.
에디터는 여러 편집 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
각 탭은 서로 다른 리소스(사운드, 비디오, Live2D 등)를 관리합니다.
💡 참고:
VoiceScriptPlayer는 동시에 하나의 프로젝트만 열 수 있습니다.
새로운 프로젝트를 열려면 현재 에디터를 닫고 홈 화면으로 돌아가야 합니다.
2. 인터페이스 구성¶
VoiceScriptPlayer 에디터는 좌측의 리소스 목록, 중앙의 플레이어(미리보기),
하단의 트랙 및 재생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
| 영역 | 설명 |
|---|---|
| 상단 메뉴 바 | 파일, 설정 등의 기본 메뉴가 있으며, 프로젝트 저장·게시, 환경설정 등을 관리합니다. |
| 왼쪽 패널 (리소스 목록) | 현재 탭의 리소스(예: 사운드, 비디오, Live2D 등)가 표시됩니다. 새 리소스를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. |
| 중앙 영역 (플레이어) | 선택된 사운드나 비디오, Live2D 모델이 실시간으로 재생되는 미리보기 화면입니다. 플레이어 크기 조정 및 전체 화면 전환이 가능합니다. |
| 하단 영역 (트랙 / 타임라인) | 사운드나 이벤트의 시간축을 표시하며, 재생 구간 및 시작 트랙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재생, 일시정지, 반복 구간 등의 제어 버튼도 여기에 위치합니다. |
| 프로젝트 정보 표시줄 | 상단 중앙에는 현재 프로젝트 제목과 불러온 DLsite 작품명 등이 표시됩니다. |
| 상태 표시줄 (우측 상단) | 연결된 장치 상태(예: TCode, Intiface)가 표시되며, “연결된 장치 없음” 등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|
🎮 주요 요소 설명¶
-
플레이어 영역
비디오, Live2D, UI 요소 등이 모두 이 영역에 표시되며
실제 게임처럼 동기화된 미리보기가 가능합니다.
영상 재생, Live2D 애니메이션, UI 인터랙션 등이 실시간으로 반영됩니다. -
트랙 설정
하단의 타임라인에서는 트랙을 추가하거나 시작 구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.
시작 트랙 설정버튼을 누르면 해당 트랙을 프로젝트의 시작점으로 설정 할 수 있습니다. -
리소스 목록
좌측에는 텝에 맞는 리소스들이 표시됩니다.
💡 팁:
사운드, 비디오 탭의 구조는 모두 동일한 형태를 사용합니다.
리소스 목록 → 미리보기 → 트랙 설정의 흐름을 익히면
다른 탭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편집할 수 있습니다.
3. 편집 탭 구조¶
VoiceScriptPlayer의 에디터는 다음과 같은 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:
| 탭 이름 | 설명 |
|---|---|
| 🎵 사운드 | 오디오 파일(.mp3, .wav)을 불러오고 자막 생성 및 편집, 번역, 음성 생성(TTS)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 |
| 🎬 비디오 | 영상 파일(.mp4, .mov)을 추가하고 자막 생성, 번역, 동기화 편집을 할 수 있습니다. |
| 🧍 Live2D | 캐릭터 모델(.model3.json) 및 모션 파일을 불러와 배치하고 설정합니다. |
| 🧩 UI | 버튼, 이미지, 텍스트 등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를 배치 및 편집합니다. |
| 💬 스크립트 | 변수, 트리거, 조건문 등을 사용해 상호작용 동작을 정의하고 제어합니다. |
| ✏️ 스트로크 | 타임라인 기반 스트로크 패턴을 불러오고 설정합니다. |
| ✨ 특수 이벤트 | 미리 정의된 특수 이벤트들을 제공합니다. |
| 📦 리소스 관리 | 프로젝트 전반에 사용되는 공용 리소스(변수, 이미지, Live2D, 번역 사전 등) 을 통합 관리합니다. |
| 🧰 런타임 도우미 | 프로젝트를 테스트 하면서 디버깅에 도움을 주는 내용등을 표시합니다. |
4. 기본 편집 흐름¶
VoiceScriptPlayer의 편집 과정은 사운드 트랙을 중심으로 모든 요소를 동기화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.
아래 순서대로 작업하면 가장 자연스럽게 프로젝트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.
- 🎵 사운드 탭에서 트랙 구성하기
음성 또는 배경음 파일(.wav,.mp3)을 불러옵니다.
필요 시 자막 생성(STT) 기능으로 대사를 텍스트로 변환합니다.
구간을 나누거나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어 정리합니다. - 🎬 비디오 또는 Live2D 탭에서 장면 연동하기
비디오나 Live2D 모델을 불러와 사운드와 타이밍을 맞춥니다.
Live2D의 모션, 표정, 애니메이션 등을 사운드 구간에 맞춰 조정할 수 있습니다.
비디오의 경우 자막을 추가하거나, 기존 자막을 자동 번역할 수 있습니다. - 🧩 UI 탭에서 인터페이스 구성하기
버튼, 텍스트, 이미지 등 상호작용 요소를 배치합니다.
UI 요소에는 스크립트 이벤트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.
예: “버튼 클릭 시 다음 트랙으로 이동” 또는 “선택지 표시” 등. - 💬 스크립트 탭에서 로직 정의하기
변수, 트리거, 조건문 등을 통해 프로젝트의 동작 흐름을 구성합니다.
예: 특정 구간이 끝난 뒤 Live2D 애니메이션 실행, 음성 전환 등.
UI와 스트로크, 사운드 간의 상호작용을 한눈에 제어할 수 있습니다. - ✏️ 스트로크 / 특수 이벤트 탭에서 물리 효과 동기화하기
스트로크(Stroke) 편집기로 패턴이나 움직임 타이밍을 설정합니다.
특수 이벤트 탭에서는 클라이맥스 이벤트 등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.
사운드 트랙과 동일한 시간축을 공유하므로 정밀하게 싱크 조정이 가능합니다. - ▶️ 전체 미리보기 및 디버깅
하단 재생 버튼 ▶을 눌러 전체 시퀀스를 확인합니다.
미리보기 중 이벤트나 변수를 런타임 도우미에서 확인합니다.
💡 팁:
타임라인을 수정하는 부분만 저장이 필요하며, 리소스는 추가나 수정이 별도의 “저장” 명령 없이 즉시 반영됩니다.
5. 주요 단축키¶
| 단축키 | 기능 |
|---|---|
| Ctrl + S | 현재 프로젝트 저장 |
6. 에디터 설정 및 초기화¶
- 프로그램 설정 (Settings)
상단 메뉴의 설정 → 프로그램 설정에서
UI 테마, 언어, 마이크 설정, AI 설정, 단축키 등을 할 수 있습니다.
7. 다음 단계¶
VoiceScriptPlayer의 모든 편집은 타임라인(트랙) 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.
사운드, 비디오, Live2D, UI, 스크립트, 특수 이벤트 등은
모두 타임라인의 시간축을 기준으로 동기화됩니다.
다음 문서에서는 트랙과 타임라인의 구조를 먼저 이해하고,
그 위에 리소스를 배치하는 방법을 배워봅니다.
🎞️ 타임라인 및 트랙 구조¶
🎵 리소스별 편집 가이드¶
타임라인을 이해한 뒤, 각 리소스 탭에서 세부 편집을 진행하세요.